웹 web 프로그래밍 의 이해
웹
웹이란 world wide web, www, 인터넷에서 운영되는 서비스중 하나 (인터넷과 웹은 다르다!)
인터넷상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방식, 멀티미디어환경에서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정보검색시스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html로 이뤄진 문서를 연결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흩어져 있는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자는 목적
HTML,HTTP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간단한 마크업 언어를 통해 정보연결이 가능하게
하이퍼텍스트 포함한 콘텐츠를 제공
http(hypert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해 tcp/ip 네트워크에서 web을 운영
웹의 동작 구조
1. 클라이언트에서 웹 이용하기 위해선, 웹브라우저라는 sw 필요
(웹브라우저 예: 크롬, 사파리,등등)
2. 클라이언트가 url 입력
3. dns서버가 ip주소로 변환
4. 웹서버에 html페이지 요청
4. 웹서버라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요청내용 분석, 해당html파일 읽기
5. 클라이언트에게 html 파일전송
6. 클라이언트는 html 태그를 분석하여 화면을 구성
네트워크, 프로토콜, tcp/ip
네트워크: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망
프로토콜: 컴퓨터들간의 연결할때 통신 규격, 네트워크를 구축시에 필요
tcp/ip:프로토콜중 하나로, 인터넷 기반 프로토콜이다
hw,os에 상관없에 동작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
TCP/IP
응용계층:WWW, TELENT , FTP 같은 네트워크 프로그램으로 구성
전송계층: 각 연결, TCP 프로토콜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
인터넷:IP프로토콜을 이요해 데이터 정의, 경로를 배정
물리 계층: 실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물리적 부분
4계층으로 구성
계층화: 각 LEVEL에서 구현한 내용을 몰라도,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 운영할 수 있다.
TCP: 데이터 흐름 관리, 데이터 정확성 확인
IP: 데이터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역할 을 담당
IP, 사설 IP
IP : TCP/IP에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각각 컴퓨터를 구분하는 주소
IP주소가 고갈 -> 사설 IP 등장
사설IP: 직접 인터넷 연결하는게 아닌, 라우터에서 제공하는 NAT(NETWORK ACCESS TRANSLATOR)기술을
이용해 접속
인터넷
인터넷: 전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넷 기반 서비스 : WWW,이메일,FTP,TELENT/SSH, DNS
인터넷 주소: 호스트이름(WWW)+도메인 이름(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