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TCP,UDP , 흐름제어, 슬라이딩 윈도우,OSI 7계층

짱쭈니어 2022. 1. 14. 16:51

https://github.com/devham76/tech-interview-study/blob/master/contents/network.md

이 사이트를 보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TCP,UDP

 

TCP, UDP는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는 전송계층의 프로토콜이다. 

 

 

 

TCP

 

연속성<신뢰성 있는 전송을 할때 사용한다. 

 

발신지와 수신지를 연결하여 논리적인 경로를 배정하는 가상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높은 신뢰성 보장

 

 

UDP

 

 

신뢰성< 연속성 전송을 할때 사용한다. (예. 스트리밍)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으르 제공한다. 

 

정보를 주고받을시에 신호절차가 없다. 

 

신뢰성이 낮다.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 

 

TCP는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흐름제어, 혼잡제어, 오류제어를 한다.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은 흐름제어기법의 하나이다. 

 

 

 

흐름제어 

 

 

수신측과 송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이다. 

 

송신측 전송량이 수신측 처리량보다 많아서 송신측 패킷전송량을 제어한다. 

 

정지-대기,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이 있다. 

 

 

 

정지- 대기

 

매번 전송한 패킷에 대한 응답을 받아야, 다음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간단한 구조이나, 비효율적이다. 

 

슬라이딩 윈도우

 

전송측에서 보낸것에 응답을 받지 않아도, 여러개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방법이다. 

수신측의 여유 버퍼 공간을 반영하여 동적으로 바뀜으로 흐름제어를 수행한다. 

 

 

 

 

 

 

OSI 7계층 

 

통신 접속에서 완료까지의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역할 -> 장비 

 

물리계층: 실제 전송을 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 -> 케이블, 허브 

 

데이터 링크계층: 송/수신을 확인   -> 브릿지, 스위치 존재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네트워크 간 ip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 -> 라우팅 

 

전송계층: 두 호스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공한다. 

 

세션계층 : 통신 시스템 사용자 간의 연결을 유지, 설정한다. 

 

표현 계층: 세션 계층 간의 주고받는 인터페이스를 일관성있게 제공한다. 

 

응용 계층: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