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umn(updateable = false)JPA 엔티티속 수정되지 않은 컬럼에다가 @Column(updateable = false) 설정을 하곤한다. 위 애노테이션이 과연 어떻게 작동하는가? 알아보려 한다. @Column(updateable = false) 테스트 코드 작성테스트할 Customer 엔티티 생성@NoArgsConstructor@AllArgsConstructor@Builder@Getter@Entitypublic class Customer{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AUTO)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firstName; private String lastName; ..
a. 객체 설계 단계에서는 단방향 연관관계로 끝내야 한다. 단방향으로만으로도 관계 매핑이 완료된거임 → 양뱡향으로 해버리면 객체 입장에서 고려할것이 많아짐양방향은 사실 단방향의 2개일 뿐테이블 설계하면서 객체 설계 같이 진행할 것 → 이미 테이블간의 관계는 이미 정해짐무엇이 1:1 관계이고, 1:N 관계인지 N:M 관계인지는 테이블 설계하면서 나올것임 이때 → 외래키를 갖고 있는 객체가 주인으로 단방향 연관관계 맺으면 됌다중성이 헷갈릴때에는 반대로 생각해보기다중성 : @ManyToMany 인지, @OneToMany인지..실무에서 다대다는 지양해야함!양방향은 언제 ?설계 단계에선 하지 않음, 실무하다가 정말 필요하다 생각되면 그 때 추가하면 된다.테이블 수정할 필요도 없고! (테이블 영향도 없음) mapp..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바
- 모델링
- sql
- 백엔드
- 유스케이스
- 코드업기초
- set
- 레이아웃
- JPA
- 이클립스
- 스프링
- 객체지향
- web
- 코딩
- java
- Spring
- 파이썬
- 코드업
- 객체지향모델링
- 개인프로젝트
- 깃
- 기초100제
- 자바기초
- UML
- 안드로이드
- 다이어그램
- laravel
- eclipse
- 파이썬기초
- sourcetre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