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존의 visual stdio 는 sourcetree를 이용하여 깃에 푸시를 하였다. 

 

안드로이드스튜디오는, sourcetree를 사용하지 않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내부에서)

깃허브와 연동하여 편하게 푸시를 할 수 있다.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자신의 git 계정 연결

 

1-1

1-1) 위측에 있는 File ->Settings -> Git-> test

위 단계는 현재 컴퓨터에 깃이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테스트 버튼을 누르면 현재 깃이 무슨버전으로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1-2

1-2) github-> +

     github창에서 자신의 깃계정을 추가시켜주면 된다. 

     저 아이콘은 내 깃허브 계정이다. 

     + 버튼을 눌러서 자신의 깃허브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해주면 된다. 

 

 

 

로그인을 하거나 

제대로 로그인을 해도 안될때가 있다.

(난 제대로 로그인을 해도 계속 안되더라 )

그럴때에는  우측에 있는 use token 버튼을 누른다. 

 

 

 

 

아이디 방식이 아닌 토큰을 사용하여 로그인하면 된다. 

 

 

 

 

 

 

 

 

자신의 깃허브계정을 들어가 우측에 버튼을 눌러준다

 

여기서 settings 눌러준다. 

 

-> 우측에 있는 Developer settings 을 눌러준다. 

-> Personal access tokens 

 

자신계정에 맞는 개인토큰이 있다.

복사하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붙여주면 된다. 

 

 

 

--> 여기까지 되었다면 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내 깃허브 계정이 연동된것을 볼 수 있다.

 

 

 

 

 

 

2. 저장소 만들기 

 

 

 

위의 메뉴중에 VCS 눌러준다 

Import into Version Control

 

 

 

create Git Repository 를 누른다 

 

깃에 저장소를 만들고싶은 파일(지금 켜있는 파일을 )

한번더 눌러주고  ok

 

->여기까지 하면 자신의 깃허브 계정에 들어가면

저장소가 새로 생긴것을 확인할 수 있다. 

 

 

 

 

 

 

 

 

 

 

 

3.commit & push 하기 

 

 

빨간색으로 표시한 버튼을 눌러준다. 

 

그럼 왼쪽에 새로운 탭?이 생긴다 

 

description이라는 곳은 설명을 쓸 수 있는 공간이다(버전파악을 위해 써야할 것 )

description위에는 어떤 파일이 commit 이 되는지 알 수 있다. 

 

commit이라는 버튼을 누르면 commit이 내 지역저장소(즉 컴퓨터)에 커밋된다.

 

push(깃허브에 올리고 싶다면 )해야한다. 

 

commit 옆에 있는 아랫세모버튼을 누르면 commit and push 버튼을 눌러 push 를 해준다. 

 

 

-> 내 깃허브에 push된 파일이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