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클라우드에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터의 각종연산, 처리를 개인 pc가 아닌 인터넷공간, 즉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ex)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n드라이브, 드롭박스 등등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유형(IaaS, SaaS, Paas)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으로서, 서비스로서의 인프라를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IT의 기본요소들과 네트워킹 기능, 데이터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합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으로, 서비스로서의 플랫폼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필요한 API를 제공한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으로,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입니다.
웹에서 소프트웨어를 빌려 쓸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ex) 이메일
네트워크 장비 용어 정리
라우터
라우터는 서로 다른 지역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기기입니다.
네트워크와 네트워크간의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고, 해당 경로에 따라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넷 접속 장비이다.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해서 몰라도,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게 라우터이다.
스위치
여러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허브도 스위치와 동일하게 분배역할을 한다.
IPv6
IPv4에서 IPv6으로 확장하면서, 32비트 체계가 128비트 체계로 확장이 되었습니다.
IP주소의 길이가 128비트로 늘어나면서 네트워크 속도 증가, 높은 품질의 서비스 제공,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보장 등등의 장점이 생겼다
CIDR 사이더
사이더는 원래 IP주소 클래스 체계를 사용하는 것보다,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인터넷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
인터넷 프로토콜을 A~D class 까지 모두 4개의 클래스 내에서 IP주소를 정의한다.
포트
컴퓨터에서 통신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번호가 포트 번호이다.
0~1023: 시스템이 사용하는 포트로, 서비스들이 사용하기 위해 미리 예약된 포트이다.
1024~65535: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포트
프로토콜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위한 사전규약
TCP/IP
인터넷 접속을 위한 규약인 TCP/IP이다.
신뢰성이 높으며, 정보를 전달시에 중간 유실이나, 흐름장애가 발생했을시 재전송을 수행한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클라이언트 서버모델을 따르는 일반적인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 서버모델: 서비스 요청자인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자원의 제공자인 서버 간 작업을 분리해주는 '분산 애플리케이션 구조 기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말한다. )
HTTP 기반 웹 서비스
1.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homepage.com'을 입력
2. DNS 서버를 통해, 주소값과 맵핑되는 IP주소를 찾는다.
3. DNS 서버를 통해 IP주소를 전달받는다.
4. 전송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5. 데이터를 네트워크 계층이 통신할때 사용하는 '패킷'으로 분해한다.
6. 분해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해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7. 전송계층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한다.
8. 프로토콜이 아닌, 물리적인 서버 간 데이터 통신이 이뤄진다.
9.도착한 데이터들은 일련번호에 맞게 조립한다.
10.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 전달한다.
11. 다시 전달받은 데이터를 서버로 전달한다.
가상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 가상서버이다.
가상서버는 물리적인 서버와 동일하게 o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가상서버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논리적으로 나누어, cpu, 메모리등의 자원을 할당한 것이다.
AWS에는 대표적으로 EC2가 있다.
가상화
가상화는 물리적인 하드웨어 장치를 논리적인 객체로 추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장치를 여러개로 나눠 동작시키거나, 반대로 여러개의 장치를 묶어 하나의 장치인것처럼 제공할 수도 있다.
가상화 기술은 호스트 가상화,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컨테이너 가상화 종류가 있다.
가상화 종류
호스트 가상화: 가상화 SW위에 게스트 운영체제를 작동시키는 가상화를 말한다.
호스트 운영체제 위에 게스트 운영체제를 작동시키기에, 필요이상으로 cpu,
메모리 사용이 증가하는 오버헤드 발생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하드웨어에 가상화를 전담하는 SW인 하이퍼바이저를 배치하여, HW와 가상환경을 제어한다.
호스트가 없는 HW를 직접 제어하기에,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 가상화: 운영체제에 논리적인 영역(컨테이너)를 만들고,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안에 넣어서, 개별 서버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ex) 도커 docker
클러스터링
대량의 데이터를 분산처리하는 방법으로 여러 개의 서버를 결합하여, 하나의 컴퓨터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술이다.
ex) Apache Hadoop, Spark
맵 리듀스
아파치 하둡은 병렬분산처리기술로 맵 리듀스를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병렬로 분산하여 처리한다.
서버리스 (Serverless) 컴퓨팅
서버리스 컴퓨팅은 클라우드 컴퓨팅 실행모델의 하나로,
클라우드 제공자가 동적으로 가상 머신 자원이 할당을 관리, 미리 설정된 서버리스 코드를 실행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PaaS, SaaS 의 중간단계로 서버리스 컴퓨팅을 처음 선보인것은 AWS이다.
로드 밸런싱
컴퓨팅 자원 분산 기술의 일종으로 둘, 셋이상의 중앙처리장치 혹은 컴퓨터 자원들의 작업을 나누는것을 의미한다.
스케일 업, 스케일 아웃
스케일 업: 서버 자체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여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고성능의cpu, 메모리를 추가하는 방법
스케일 아웃: 물리적으로 서버를 늘려서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이다.
오토 스케일
서비스가 집중되었을때, 서버cpu, 메모리 사용량이 일정 사용량을 초과했을때 자동으로 가상 서버 대수를 증감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자동으로 서버의 대수를 늘리기도 줄이기도한다.
데브옵스
DevOps는 Develponment개발팀과 Operation 운영팀을 뜻한다.
두 팀간의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운영팀은 서비스가 제대로 돌아갈 수 있는 환경을 개발팀에게 제공해주는 부서, 주로 서버관리를 맡게 된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에 대해서 (1) | 2022.06.16 |
---|---|
Greedy algorithm 탐욕 알고리즘 (0) | 2022.02.14 |
Spring IOC , DI , AOP 주요 개념 (0) | 2022.01.15 |
TCP,UDP , 흐름제어, 슬라이딩 윈도우,OSI 7계층 (0) | 2022.01.14 |
REST API (0) | 2022.01.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eclipse
- 깃
- sourcetree
- 파이썬기초
- 레이아웃
- 파이썬
- web
- 백엔드
- 모델링
- 자바
- 스프링
- 코드업
- UML
- JPA
- 객체지향모델링
- 다이어그램
- 코딩
- 객체지향
- 이클립스
- Spring
- set
- 코드업기초
- java
- 기초100제
- 안드로이드
- 개인프로젝트
- 자바기초
- sql
- 유스케이스
- larave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